(4) 저 같은 경우는 Windows OS를 사용하고 있어서 QNAP Qfinder Pro for Windows 유틸을 다운로드 하였어요.
(1) 다운로드를 다 하였으면 설치를 합니다. 진행 되는 과정이 어렵지 않아서 초기 설정은 쉽게 하실 수 있을거에요. ^^
(2) 개인취향이지만 저는 영문으로 제공되는 툴들은 웬만하면 영어로 쓰려고 해요. 영어를 잘해서가 아니라 그래야 구글에서 영어로된 자료를 찾기가 편하더라구요. 어째튼 언어를 선택하고 OK버튼을 누릅니다.
(3) 작업하는 PC와 같은 네트워크(ex. 같은 공유기 환경)안에 있으면 아래와 같이 NAS를 찾을 수 있고 초기화 하는 화면을 볼수 있습니다.
(4) 여기까지는 전혀 어려운게 없어서 다들 쉽게 따라하였으리라 생각되요. ㅎㅎ
(1) 이제 초기화 작업을 시작해 볼게요.
(2) 이전 단계에서 YES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어요.
- 이 단계에서는 어떤 용도로 사용할지에 따라서 초기에 설치 되는 NAS안의 Apps들이 달라 집니다.
- 설명에도 나와 있지만 만약 Business Use로 선택해도 NAS내의 App Center에서 필요한 Apps들을 설치할 수 있으니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 잘 모르겠으면 저 처럼 Home Use를 선택하시면 필요한 Apps들이 다 설치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어요. ^^
(3) 선택 하셨으면 Smart Install Guide 시작 버튼을 누릅니다.
(4) 다은 단계는 NAS이름과 패스워드 설정하는 부분입니다.
- 원하는 이름과 패스워드를 작성해 주세요.
- 그러 실분들은 없겠지만 혹시나 잊을 수도 있으니 기록해 놓은 패스워드 잘 적어 놓으시기 바래요~!!
(5) 그 다음 단계는 시간을 설정하는 부분이예요.
- 저희는 한국이니까 Seoul을 선택 하면 되겠죠?
- 저는 추가로 NTP 서버도 설정 했어요.
- 구글링해도 되지만 NTP 서버가 뭔지 간단하게 설명을 해드리면 , Network Time Protocol(NTP)의 약자로 네트워크를 통해 자신의 NAS의 시간을 자동으로 맞춰줄 수(동기화) 있는 기능이예요.
(5) 이제 초기 설정이 얼마 남지 않았어요. 앞으로 10분도 안걸릴 거라고 약속 드릴게요. ㅎㅎ
- 아래 화면처럼 네트워크 설정을 위해 선택을 하시면 되요.
-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DHCP는 자동으로 집에서 사용하는 공유기에서 IP를 할당 받아 설정하는 옵션이구요
- 아래 Static IP는 자신이 원하는 IP로 설정하는 내용입니다. (일반적으로 회사에서 많이 사용할 거라고 예상합니다. ^^)
(6) 이런 내용이 어려우면 그냥 저처럼 DHCP를 선택 하시면 되요.
(7) 다음 단계는 주로 어떤 장치에서 NAS를 사용할 지를 선택 하는 부분인데 저는 기본 설정인 Windows와 Linux를 선택 했어요.
- 두개의 차이가 크게 없지만 나중에 Linux라는 OS에서 NAS를 사용할 때 쓸수 있게 설정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하시면 되요.
- 나는 Linux의 L도 모르는데? 하시면 그냥 Windows만 선택하셔도 충분합니다.
(8) 이제 Disk 설정 하는 부분입니다.
- 여기가 조금 이해가 필요한 부분인데 최대한 쉽게 설명을 드릴게요.
- Volume type이라고 있는데 Single과 Multi를 설정하는 옵션이 있어요. 우선 자신이 디스크를 추가로 더 설치하여 다른 드라이브로 사용하고 싶다 하시면 Multi를 설정하시면 되요.
- 만약, '그럴일 없어'라고 하시거나 '뭐가 먼지 잘 모르겠네.' 라는 생각이 들면 그냥 싱글을 선택하세요.
- 저도 초기 설정할때 Disk가 하나 밖에 없어서 Static(Single)을 설정했는데, 나중에 Disk를 추가로 구입하면 볼륨을 확장할 계획입니다.
(9) 그 다음 RAID Type이 있는데 Disk가 하나일 경우 Single밖에 선택을 못해요.
- Raid를 설명하려면 너무 많은 시간이 걸리니 우선 링크로 대체 할게요.
- Raid란 : https://ko.wikipedia.org/wiki/RAID
(10) 선택 하셨으면 Next버튼을 누르시면 되요.
(1) 이제 진짜 마무리 입니다.
- 전 단계에서 Next를 누르면 이제 아래와 같이 빨간색 글씨로 모든 데이터가 지워질 수 있다는 글을 볼 수 있어요.
- 하지만 저희는 이제 막 박스에서 꺼낸 Disk라 걱정 마시고 Confirm(확인) 버튼을 누르시면 되요.
(2) Disk 포맷을 시작으로 모든 초기 설정 작업이 거의 끝나가고 있네요.
(3) 포맷 작업이 완료 되면 Qfinder에서 다시 자신의 NAS를 선택하고 Firmware(펌웨어) 업데이트를 진행 하시면 초기 설정은 완료 됩니다.
- 시간이 제법 걸리니 작업 하는 동안 NAS를 끄지는 마세요. 그냥 두고 잠깐 바람이나 쐬고 오시면 되요.
(4) Firmware(펌웨어) 업데이트는 Qfinder에서 하지 않고 NAS GUI에 접속 하셔서 Control Panel(제어판)에 가서 할 수도 있으니 참고 하시기 바래요.
QNAP(큐냅) NAS 초기 설정이 끝났네요.
글을 쓰다 보니 좀 말이 길어진 감이 없지 않아 있지만 실제로 해보면 30분 내외로 끝낼 수 있답니다.
다음 번 글에서는 추가적으로 설정해야 되는 세부 사항들을 정리해 드릴게요~~
그럼 다음에 뵐게요~~!!
'일상생활 > IT 제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QNAP 251+ 언박싱 (NAS, Network-attached storage) (2) | 2018.12.24 |
---|---|
[USB 스피커] 닌텐도 스위치 용 스피커 필라 CSB-2700 USB (14) | 2018.02.07 |
[Smart TV] 스마트 TV 만들기 2탄 Beelink GT1 Ultimate TV Box (17) | 2017.08.05 |
스마트폰 3축 짐벌 지윤텍 스무스 Q (Smooth Q) 구입 및 사용기 (18) | 2017.04.23 |
[Smart TV] 스마트 TV 만들기 Beelink mini mx s905 (8) | 2016.08.04 |